반응형

질의
4대강 사업은 무엇이 문제가 되었나요?
응답
4대강 사업은 이명박 정부(2008~2013년)가 추진한 대규모 국책사업으로, 한강·낙동강·금강·영산강의 정비를 중심으로 했습니다. 하지만 환경, 경제성, 정책의 투명성 등 여러 측면에서 논란이 지속되어 왔습니다. 아래에 그 주요 문제점들을 정리해드릴게요.
✅ 4대강 사업 개요 (간략히)
- 시기: 2009~2012년
- 총 사업비: 약 22조 원
- 내용:
- 16개 보(댐 유사 구조물) 설치
- 하천 준설 (강 바닥 파내기)
- 자전거도로, 수변공원 조성 등
❌ 주요 문제점들
1. 🌱 환경 파괴
- 수질 악화: 보 설치 후 유속이 느려지면서 녹조 발생 증가
→ “4대강에 녹조라떼”라는 표현까지 등장 - 생태계 훼손: 모래톱, 습지, 어류 산란장 등 파괴
- 멸종위기 생물 감소: 수달, 큰고니 등 서식지 파괴
2. 💸 경제적 효과 불확실
- 사업 타당성을 검토한 **예비타당성조사(예타)**가 생략됨
- 수질 개선, 일자리 창출 등 기대 효과 과장 의혹
- 준설한 강바닥이 몇 년 만에 다시 쌓이면서 유지·보수 비용 증가
3. 🏗️ 설계와 구조물 문제
- 16개 보 중 일부는 물 비침투, 누수, 균열 등 구조적 결함 발생
- 보 붕괴 우려로 항구적 안전성 논란
- 무리한 준설로 지하수 고갈·농업용수 부족 사례도 있음
4. ⚖️ 정치적·행정적 문제
- 환경 전문가들과의 의견 수렴 부족, 밀실 행정 지적
- 반대 의견이 많았던 전문가들을 배제하고 사업 강행
- 감사원 감사, 국정감사에서 과도한 예산, 불법 입찰, 회계 부정 등이 지적됨
🔍 후속 논의 및 현재 상황
- 문재인 정부에서는 4대강 재자연화 정책 추진
→ 금강·영산강 일부 보는 해체 또는 상시 개방 - 일부 지역 주민과 농민은 “치수 효과(홍수 조절 등)는 있었다”는 입장
→ 환경 단체와 갈등도 있음
📌 요약
문제 유형 세부 내용
환경 문제 | 수질 악화, 녹조, 생태계 파괴 |
경제성 문제 | 비용 대비 효과 불투명, 예타 생략 |
구조물 문제 | 보의 안정성 부족, 준설의 반복 필요 |
행정적 문제 | 졸속 추진, 전문가 무시, 예산 낭비 의혹 |
Rmx
300x250
'질의, 응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룡시리즈어워즈는 무엇인가요? (0) | 2025.06.25 |
---|---|
이번 ios26에서 무엇이 변화되었나요? (0) | 2025.06.25 |
최근에 리박스쿨이 왜 논란인가요? (0) | 2025.06.25 |
헌 옷 수거함에 넣어도 되는 것과 안 되는 것 좀 알려주세요. (0) | 2025.06.24 |
이번에 이재명 대통령은 왜 나토 정상회의에 불참했나요? (0) | 2025.06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