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질의
야구에서 볼데드와 인플레이는 어떤 상황인지 알려주세요.
응답
좋은 질문입니다!
야구에서 **"볼 데드(Ball Dead)"**와 **"인 플레이(In Play)"**는 공의 활성 상태를 구분하는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.
간단히 말하면, 공이 살아있는지(인플레이) 죽어있는지(볼데드)를 구분하는 개념이에요.
⚾️ 1. 인플레이 (In Play)
✅ 정의:
- 공이 살아있는 상태로, 타자와 주자 모두 움직일 수 있는 상황.
- 경기 진행 중이며, 아웃·안타·진루·실책 등이 모두 발생할 수 있음.
📌 예시 상황:
- 투수가 공을 던져 타자가 쳤을 때 (타격 후)
- 공이 수비수에게 잡혔지만 플레이가 계속될 때
- 수비수가 공을 잡고 주자를 쫓거나 송구할 때
- 주자가 도루할 때
➡️ 심판이 별도로 정지시키지 않았다면 대부분 인플레이입니다.
⛔️ 2. 볼 데드 (Ball Dead)
✅ 정의:
- 공이 더 이상 경기에서 사용되지 않는 상태, 즉 "일시 정지" 상태.
- 이때는 타자나 주자가 움직일 수 없고, 심판이 플레이를 재개할 때까지 기다려야 함.
📌 대표적인 볼 데드 상황:
- 파울볼
– 타자가 친 공이 파울 라인 밖으로 나갔을 때 - 홈런
– 공이 외야 펜스를 넘으면 자동으로 볼 데드 - 타자에 공이 맞았을 때
– 헬멧이나 몸에 공이 맞으면 플레이 정지 - 주루 방해 또는 수비 방해
– 방해 행위가 있을 때 즉시 정지 - 투수가 보크(Balk)를 범했을 때
– 규칙 위반으로 주자가 자동 진루, 플레이 중단 - 심판의 타임(Time) 선언
– 예: 부상, 장비 문제, 심판 요청 등 - 포수 앞에서 공이 멈췄지만 주자 움직임이 없는 경우
– 일부 리틀야구나 아마추어 경기에서만 해당
✅ 정리 비교
구분 인플레이 (In Play) 볼 데드 (Ball Dead)
상태 | 공이 살아 있음 | 공이 죽어 있음 |
주자 움직임 | 가능 | 불가능 |
예시 | 타구가 필드 안, 도루, 수비 중인 상황 | 파울, 홈런, 타임, 몸에 맞는 공 등 |
심판 개입 | 없음 (자동 진행) | 있음 (심판이 플레이 중단 선언) |
Rmx
반응형
'질의, 응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국 프리미어 리그 선수들은 한 시즌에 몇 개의 대회를 뛰나요? (0) | 2025.07.14 |
---|---|
KBO 프로야구에서 FA 자격은 어떻게 해야 얻게 되는 것인가요? (0) | 2025.07.12 |
자식이 죄를 지었을 때 부모가 숨겨줘도 부모는 왜 처벌을 받지 않는 것인가요? (0) | 2025.07.10 |
무해지 보험의 장점과 단점이 무엇인가요? 무해지 보험이 일반 보험과 비교했을 때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 궁금해요. (0) | 2025.07.10 |
유병자 실손 의료비 보험은 단독 가입 불가능한가요? (0) | 2025.07.10 |